자료 정리 중입니다 ⏱
브런치스토리
본문 바로가기

단독주택/석경수헌晳涇帥軒

건축주께서는 백 점이라네요 晳涇帥軒석경수헌, 작년 12월 17일에 기공식을 했으니 벌써 반년이 지났다. 평지에 집만 지었으면 길어도 3개월이면 마쳤을 것이다. 도로에서 5미터 정도 높은 곳에 있는 밭을 집터로 삼았으니 마당이 접한 주변 정리에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설계도 그렇지만 집을 짓는 과정에 건축주가 참여하는 건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내가 살 집이니 설계부터 집이 완공되어 입주할 때까지 빠진 게 없도록 살펴야 한다. 내가 살 집을 지어서 살 수 있다는 게 축복이 될 수 있도록 살피고 또 살펴야 한다. 석경수헌은 건축주께서 하루도 빠짐없이 현장에 나와서 공사를 맡은 분과 대화를 하고 일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게 애를 쓰셨다. 연세가 적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노심초사 현장을 돌보고 일이 없는 날에도 혼자 나와서 집이 지어.. 더보기
넘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도록 지어 행복이 담기는 집 수납공간과 비어 있는 방에 행복이 숨어있는데 지금은 쓰임새가 불편해도 모양새만 예쁘면 다 용서된다는 디자인 만능인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런데 그 말이 한번 지으면 평생 살아야 하는 우리집을 짓는 데도 통할 수 있을까? 톡톡 튀는 디자인을 선호하는 추세에 맞추어 패셔너블한 외관을 자랑하는 집이 잡지나 인터넷 포털로 소개된다. 정보검색을 통해 최근 지어지는 집을 보노라면 레고 같은 육면체나 삼각지붕으로 된 박스풍이 유행하고 있다. 집의 지붕을 삼각으로 처마 없이 얹으면 지붕에 쏟아지는 비는 벽을 타고 흘러내린다. 벽을 적시는 비는 창문으로 흘러들어 누수의 위험을 증대시킨다. 그뿐이 아니라 북측 벽은 햇볕이 들지 않아 잘 마르지 않는다. 따라서 장마철에는 곰팡이로 벽면이 오염되는 건 물론이고 나무 재질을 썼다.. 더보기
이 시대의 한옥, 晳涇帥軒석경수헌 설계를 마무리하면서 그림 같은 노송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남향으로 열려 있는 집터이다. 300 평이 넘는 적지 않은 대지 면적이 부담스러운 작업이었다. 도로에서 4미터 정도 높이에 평지가 조성되어 있어 올라오는 경로를 결정하는데 난관을 거쳐야 했다. 300 평의 대지에 30평으로 짓는 집, 대지는 넓고 집을 너무 작게 짓는 건 아닐까? 큰 집은 필요치 않다고 하면서 너무 넓은 대지를 구한 건 아닐까? 집을 30 평으로 지으면 좀 좁은 게 아닐까? 단독주택을 지어서 살아보려고 대지를 찾아보면 마음에 꼭 드는 땅이 쉽사리 구해지지 않아 애를 먹는다. 어떤 분은 십 년이 걸렸다고 하고 그나마 빨리 구했다고 하면 사오 년이다. 소위 물 좋고 정자 좋은 땅에 내 집을 짓는 건 삼대 적선을 한 공덕이면 모를까 싶지 않은 일이다. 건축주.. 더보기
집의 얼개 2, 손님과 주인이 다 '우리집' 단독주택을 지으려고 마음을 먹으면 집의 규모를 얼마나 잡아야 하는지 가장 궁금하지 않을까 싶다. 서른 평? 마흔 평? 단층으로 지을까? 이층으로 지을까? 판단을 내리는 게 쉽지 않다. 집터를 구하는 데도 집의 규모를 정해야만 대지면적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집을 쓰는 사람은 부부로 한정되는 추세이다. 삼대三代가 한집에서 사는 대가족제도는 옛이야기가 되었다. 더구나 단독주택을 지으려는 연령대를 보면 은퇴 후가 많으므로 아이들은 출가를 했거나 부모로부터 독립한 뒤이기 때문이다. 부부만 살게 되는 단독주택은 그 규모를 크게 잡을 필요가 없을 것이다. 석경수헌의 건축주도 처음에는 스물다섯 평 내외로 이야기를 시작했었다. 설계 과정에서 그 면적으로는 부족하다는 걸 알게 되어 서른 평이 넘어야겠다는 판단.. 더보기
집의 얼개 1, 외부공간 중심으로 300 평이 넘는 땅을 구했지만 집은 스무 평 남짓으로 소박하게 지어서 살겠다는 게 건축주의 뜻이었다. 우리 조상님들도 너무 큰 집에서 살면 그 기운에 사람이 눌린다고 하셨다. 처칠은 사람이 집을 짓지만 나중에는 그 집이 사람을 바꾸어간다고 했으니 집은 규모나 모양새보다 어떤 삶을 담을 수 있을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은 삼대가 한 집에서 사는 건 거의 불가능한 세상이 되었다. 손주와 조부모가 함께 지내는 모습을 보는 건 예전에는 흔한 일이었다. 우리나라가 자랑하는 대가족 가정이 이제 핵가족을 지나 일인 세대가 급속도로 늘고 있어 가족이라는 말이 무색할 지경에 이르렀다. 건축주는 ‘우리 부부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집’이라는 명제를 들고 집짓기의 틀을 만들어 왔다고 했다. 부부의 행복, 두 분의.. 더보기
기획안을 제안하다 단독주택 작업을 시작하는 첫 단계는 건축주의 생각을 경청하는 일이다. 나의 질문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어떤 집에 대한 것에 앞서서 집을 짓고 어떻게 살고 싶습니까?"이다. 단독주택을 지으려고 마음 먹은 분들은 나름대로 공부를 많이 해서 그들이 생각하는 집에 대한 많은 얘기를 들을 수 있다. 건축주가 펼쳐내는 '우리가 살고 싶은 집'을 그대로 도면에 옮겨낼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렇지만 건축주의 얘기를 들어보면 건축물에 국한되는 집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들이 그동안 공부하면서 마음에 들었던 집의 사진을 예를 들어가면서 모눈종이에 그린 평면도를 보여주기도 한다. 쓰임새를 담은 모눈종이 평면도는 아파트와 닮았고 모양새는 그림 같은 외관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아파트에서 살았던 생활 습성.. 더보기
터를 살피면서 소나무와 대나무가 대지를 감싸고 남향으로 열려있는 터 해마다 단독주택을 한 채씩 설계를 하게 되는데 올해도 그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그동안 작업했던 단독주택의 규모는 보통 45평 내외였는데 근래에는 작은집을 지으려는 건축주를 만나게 된다. 이번 작업은 스물다섯 평 정도로 지으려고 하는데 과연 그 규모로 지을 수 있을까? 건축주와 사돈지간인 친구가 나를 설계자로 추천하였다. 친구도 단독주택을 지을 예정이어서 부지런히 집터를 찾고 있는 중이다. 단순한 친구 사이가 아니라 그동안 단독주택에 대해 많은 얘기를 나누다보니 건축사로서도 신뢰를 얻게 되었는가 싶다. 사돈사이는 참 어려운 관계인데 교분을 나누면서 잘 지내는 모습이 참 부러웠다. 사람을 소개하는 일은 술 석잔을 얻어 마시기는 커녕 빰을 안 맞으면 다행.. 더보기